본문 바로가기
경제

韓 기준금리 인하는 …한은 전망 시기 11월로

나우경제기자2025-10-05 09:15:38(admin)
  • 글자크기
  • 프린트

0bca5bc876b86459526360efe235d822_1759623331_7327.jpg
금융투자업
계에 따르면 애초 채권 전문가들은 지난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이 결정됐을 당시만 해도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봤다.

부동산 시장이 주요 변수긴 하지만 미국발 관세에 따른 기업 심리 위축과 수출 감소 문제 등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달 이 총재를 비롯해 한은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이 잇달아 나오자 최근 들어서는 10월 인하도 물 건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이 총재는 지난달 16일 서울대 경제학부 주최로 열린 특강에서 “금리 0.25%포인트 인하를 한두 달 미뤄도 경기를 잡는 데 큰 영향이 없지만, 금리 인하 시그널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더 고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틀 뒤인 18일 미국 워싱턴 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방문 때는 “중립 금리를 고려할 때 금융 안정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약간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시장의 이목이 쏠린 인물은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이었다.

관심을 끈 것은 “금융 여건 완화(기준금리 인하) 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거시건전성 정책의 강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으로, 지난달 25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실린 대목이다.

8월 금통위 회의 때 성장을 우려해 기준금리 인하로 소수의견을 제시했기에 시장은 신 위원의 기조 변화에 더 촉각을 세웠다.

한은이 통화정책의 방점을 금융 안정에 분명하게 찍었지만,강남 등 일부 지역의 집값 상승세는 꺾이지 않는 분위기다.

지난달 발표된 소비자동향조사에서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하락했으나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오름세를 지속해 앞으로도 주택가격이 쉽게 잡히지 않을 거란 우려도 나온다.
한화증권 한 연구원은 “강력한 대책과 규제로 더 벌어지지 않을 것 같았던 서울과 지방 아파트 가격차가 전고점을 경신했다”며 “지금은 금융 안정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10월 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했다.


그는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기존의 10월에서 11월로 변경하고, 더 나아가 “올해 인하가 이번 통화정책 사이클의 마지막 조정이며 내년에는 연 2.25% 기준금리가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지면서 변동성 확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